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교향곡 제9번(드보르자크)

덤프버전 :


파일:다른 뜻 아이콘.svg  
신세계로부터은(는) 여기로 연결됩니다.
넷플릭스 예능프로그램 '신세계로부터'에 대한 내용은 신세계로부터(예능) 문서
신세계로부터(예능)번 문단을
신세계로부터(예능)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
[1]


느리게 연주하기로 유명한 세르주 첼리비다케 [2]


제 4악장 교황 앞에서의 연주. 지휘자는 구스타보 두다멜.


1. 개요
2. 곡의 편성
3. 곡의 형태
3.1. 1악장
3.2. 2악장
3.3. 3악장
3.4. 4악장
4. 각종 매체에서
5. 기타


1. 개요[편집]


안토닌 드보르자크교향곡으로, 미국에 3년간 체류할 때 미국 전통의 멜로디를 듣고 이를 자신의 국민악파 악풍과 결합하여 만든 작품이다. 한국에서는 "신세계 교향곡"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명칭은 <신세계로부터>(Z nového svĕta[3]). 고향을 그리는 듯한 애절한 멜로디의 2악장과, 웅장하고 장엄한 느낌의 멜로디로 시작하는 4악장이 매우 유명하다. 특히 4악장은 그 특유의 장엄한 느낌 때문인지 매체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굉장히 높은 편이다.

서정적인 멜로디의 2악장의 주제는 종종 따로 연주되어 민요로 오해받기도 한다. 영어권에서는 Goin' Home, 한국에서는 꿈 속의 고향이라는 제목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, 드보르자크의 제자가 교향곡에서 주제를 따와서 가사를 붙인 것이라고 한다. #

간혹 드보르작의 현악 4중주 12번 F장조 '아메리카'와 헷갈리는 사람도 있는 듯하다.

교향곡 제9번 '신세계로부터' 4악장의 도입 부분, '빠~밤 빠~밤 빠밤 빠밤 빠바바바~' 하면서 점점 빨라지고 높아지는 건 증기 기관차의 발차 소리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도 한다. 드보르자크는 극렬한 철도 동호인으로 유명하다.


2. 곡의 편성[편집]



관악기의 경우 2관편성이 일반적이며 단원 수 100명이 넘어가는 대규모 오케스트라의 경우 4관편성까지 간다.


3. 곡의 형태[편집]



3.1. 1악장[편집]


느리게 - 매우 빠르게 ( Adagio - Allegro molto ) e단조이다.

서주(1~23마디) - 현악기의 느린 서주로 시작한다. 곧 같은 주제가 목관악기에서도 나오고 발전하면서 바이올린의 여린 트레몰로와 함께 제시부로 넘어간다.
제시부(24~180마디) -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트레몰로와 함께 호른의 제 1주제가 나온다(24~27마디). 그후 목관악기가 g단조의 제 2주제를 연주한다(91~98마디). 플루트가 G장조의 선율을 연주하고(149~156마디) 현악기가 같은 주제를 연주한 다음 제시부를 반복한다.
전개(발전)부(181~276마디) -
재현부(277~452마디) - 제시부와 비슷하게 시작하지만 2주제가 등장할때는 e단조로 나온다.


3.2. 2악장[편집]


느리고 장중하게 ( Largo ) D♭장조이다. A-B-A의 세도막형식이다.

현악기와 관악기가 6마디의 서주 이후 잉글리시 호른이 유명한 주제를 제시한다.


3.3. 3악장[편집]


매우 빠르게 - 약간 여유있게 ( Molto Vivace - Poco sostenuto ) e단조 - E장조이다. A-B-A-코다

트라이앵글과 함께 매우 빠르게 시작한다. 13마디에서 목관악기가 주제를 제시한다. 68마디에서 Poco sostenuto로 약간 느려진다. 다시 Molto Vivace로 돌아오고 248마디에서 시작으로 돌아간 뒤 141마디에서는 코다(249마디)로 넘어간 후 곡이 끝난다.

3악장의 서두는 베토벤의 교향곡 9번 2악장 스케르초와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. 이는 드보르작이 베토벤의 교향곡에게 바치는 오마주이다. 3악장을 관통하는 악상은 춤곡인데 여기에 대해 미국 원주민과 흑인의 춤곡 리듬을 차용했다는 설명이 있지만, 좀 더 정확하게는 작곡가 본인의 <슬라브 춤곡> 1번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.

3.4. 4악장[편집]


빠르고 정열적으로 ( Allegro con fuoco ) e단조 - E장조이다.

모든 현악기가 함께 포르티시모로 같은 음을 연주하며 시작한다. 그러면 10마디에서 금관악기가 4악장의 주제[4]가 나온다. 66마디에서부터는 G장조로 클라리넷과 첼로가 서로 주고 받으며 아름다운 선율이 나온다

4악장에서 심벌 주자는 상징적인 소리를 내도록 되어 있는데 4악장 전체 부분에서 딱 한 번, 딱 한 음표만 연주된다.[5] 그것도 시원하게 한 번 치는 것이 아니라 바람소리를 연출하듯 심벌끼리 한 번 스친다. 1~3악장은 심벌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심벌 주자는 그 한 음표를 위해서 가만히 앉아서 30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.

4. 각종 매체에서[편집]




  • 기시 유스케의 소설 신세계에서가 바로 이 음악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. 실제로 틈만 나면 신세계로부터가 나온다.


  • 메이저의 마유무라 켄이 좋아하는 곡으로, 애니메이션 5기 19화에서 마유무라가 자신감을 되찾고 공을 던질 때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.

  • 문명 4의 산업시대 배경음악, 문명 5에서는 유럽 테마의 배경음악으로 2악장 도입부가 사용되었다.


  • 아수라의 분노에서 오거스와의 전투에서도 사용되었다. 격렬한 무투전과 엄청난 시너지를 일으킨다.

  • 암살에서 후반 광복 후 김원봉과 김구의 대화장면에서 사용되었다.




  • 원피스 바로크 워크스 편의 대미를 장식하는 몽키 D. 루피크로커다일의 최종결투를 영상화한 애니메이션 126화에서 이 곡이 BGM으로 사용되었다. 정확히는 루피가 결정타인 고무고무 스톰을 시전해 크로커다일을 피떡으로 만드는 장면에서 나오는데 # 뛰어난 액션씬과 이에 걸맞는 4악장의 웅장함이 맞물려 큰 호평을 받았다.

  • 월간 순정 노자키군 애니에서 카시마 유우가 노래를 부를 때 사용됐다.[6]

  • 은하영웅전설 애니메이션판 15화에 4악장이 사용되었다. 사용된 부분은 자유행성동맹의 은하제국 침공에 맞서 청야전술로 맞대응하던 제국군이 반격을 개시하여 우란푸가 지휘하는 동맹군 제10함대와 슈바르츠 란첸라이터가, 양 웬리가 지휘하는 제13함대가 켐프 함대와 전투를 벌이는 장면에서 시작해 제3함대의 르페브르 중장이 죽는 장면까지 해서 10분 넘게 재생된다.

  • 죠스 시리즈의 음악이 4악장의 선율과 흡사하다는 지적이 많다.# 아예 죠스의 테마곡을 이 곡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꽤 있을 정도. 대표적으로 신서유기 출연진들

  • 죠스바 광고에 나왔다.# 위에도 나왔듯이 4악장의 전주 부분이 죠스 테마곡과 유사하기 때문. 우리나라에서 이 곡을 죠스의 테마곡으로 착각하게 하는 데에는 이 광고도 한몫했다.

  • 클래시컬로이드 제2 시리즈 1화에서 드보르자크의 무지크로 사용되었다. 사용되는 부분은 4악장으로 제목은 '출발진행! 전설을 향해 ~신세계 제4악장에서~'로 나왔다. 그리고 14화에서 2악장도 사용되었는데 'Going sweet home ~신세계 교향곡 제2악장에서~'로 나왔다.




  • 프로레슬러 월터의 테마곡이다.# 인디 시절에는 메탈풍으로 어레인지한 것을 썼지만 WWE에 데뷔하면서 기존의 클래식 버전을 쓰고 있다.


  •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 있는 신이마미야역오사카 순환선 승강장에서 이 곡을 어레인지한 버전이 발차 멜로디로 사용되고 있다. [7]

  • KIA 타이거즈 출신의 레전드 야구선수 이종범의 응원가로 사용된 걸로도 유명하다.[8][9] 사실 SK 와이번스에서 정경배의 응원가로 먼저 사용된 전적도 있으나[10], 유명세를 타지 못해서 묻히고 말았다. 또한 서울 삼성 썬더스의 홈 경기에서 삼성의 공격 시에도 공격음악으로 깔리며, 최근에는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의 배구선수인 링컨 윌리엄스가 서브를 때릴 때 사용되고 있다.


4.1. 더뮤지션에서[편집]


난이도 별 MAX 콤보
가볍게화려하게과감하게격렬하게
446579750893


AP 영상. 플레이어는 29600(Renevant).

노트 1개당 점수순서최대 피버 시간(초) / 점수(점)
구분일반 상태피버 상태18.47 / 25,100
일반 노트1,1001,60029.06 / 35,300
드래그 노트7001,00039.77 / 46,100
롱 노트1,8002,700410.00 / 38,700
510.00 / 16,600
최대 획득 가능 점수 (보너스 제외)1,072,100
격렬하게 보너스 최대 점수63,700

2nd 클래식 패키지 수록곡으로 등장하였다. 격렬하게 기준 노트 수는 893개이며, 계단노트가 밥먹듯이 튀어나온다. 초반부에 화면을 가로지르는 6단계단을 시발점으로, 그 이후 막바로 등장하는 S자형 계단노트(3-6-3단), 거기에다가 양 사이드로 번갈아 나오는 이른바 '한손계단' 패턴이 정말 많이 나온다. 이 때문에 체력이 후달려서(...) 판정이 떨어지는 경우가 부지기수. 한편, 과감하게는 노트 수가 750개임에도 불구하고, 만점이 116만8천점대에 불과하다. AP 달성자 수는 10명 이상.


5. 기타[편집]


  • 놀랍게도 튜바는 2악장에서 단 14개의 음표만 연주한다. 그래서 연주 영상들을 보면 튜바는 대부분 가만히 앉아 있다.

  • 소녀시대의 첫 번째 곡인 다시 만난 세계도 이 곡의 4악장의 멜로디를 차용해서 편곡한 것으로 추정된다. '전해주고 싶어 슬픈 시간이' 부분과 '특별한 기적을 기다리지 마' 부분의 멜로디(라시도시라라/솔미솔라라)가 신세계 교향곡의 주 멜로디의 음(라 시 도 /시 라라 /라 솔 미솔 라)을 거의 그대로 따르되 리듬과 화성만 바꾸었다. 다시 만난 세계의 영어 제목이 'Into the New World'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.


  • 존 윌리엄스가 이 곡 4악장의 도입부에서 영감을 얻어 영화 죠스의 ost를 작곡했다는 루머가 있으나 근거가 부족하다.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4 06:27:23에 나무위키 교향곡 제9번(드보르자크)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서정적인 느낌으로 유명한 2악장은 12분부터, 장엄한 느낌의 4악장은 33분부터 시작된다.[2] 2악장 13분부터, 4악장 39분부터 시작한다. 특히 2악장 클라이막스인 19:10 부터 22분까지는 다른 지휘자와 비교할만하다. 오보에 수석 지못미...[3] 드보르자크는 당시 미국에 있었으므로 자필 악보에 영어명 'From the New World'를 병기했다.[4] 이 교향곡이 유명해진 이유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.[5] # 1:48 해당 부분에서 심벌 소리가 나온다.[6] 이 캐릭터가 음치라는 설정이라 노래가 못 부른다는걸 강조하려고 사용됐다.(...)[7] 인근에 신세카이(新世界)라는 관광지이자 번화가가 위치해있기 때문이다.[8] # 2011년 6월 2일 잠실 LG전 영상이다. 잠실임에도 불구하고 기아 팬들의 엄청난 목청을 들을 수 있다. 여담으로 신서유기에서 신세계로부터의 익숙함을 설명할 때 본 영상이 사용되었다.[9] 가사도 간단하다. '이~종범 이~종범 안타 이종범.'을 4번 반복한다. 간단한 가사에 비해 웅장한 분위기가 이 곡의 포인트다.[10] 정경배 말고도 4악장을 응원가로 쓴 선수들이 더러 있었다.